본문 바로가기
약학

[생약학] 생약의 품질평가 & Buliding Block

by 공백blank 2022. 4. 22.

생약학 ; 생약을 연구하는 학문
- 천연 약물의 역사, 분포, 재배, 채집, 제제화, 감별, 평가, 보관 그리고 약효 성분 및 이용 등에 관하여 연구
- 좁은 의미 ; 생약의 감별, 평가, 성분, 약리, 이용, 제제화. 보관 등을 다룸
- 넓은 의미 ; 생약자원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점적으로 새로운 의약품 개발 및 응용에 대하여 탐구하여 인간에게 유익한 천연자원에 대한 활용을 연구하는 학문

생약의 악효 ; 활성이 각기 다른 수도 있는 전체 활성성분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

<생약의 품질평가 >

1. 이화학적 품질평가

생약의 동정 및 진위를 감별, 이물의 검출을 목적

=> 정성시험 ; 확인시험 및 순도시험

Alkaloid 1) Mayer 시약에 의한 침전반응
2) Dragendorff 시약에 의한 침전반응
3) I2시약에 의한 발색반응
-> 3가지 시험 모두 양성일 때 알칼로이드로 인정
ADMI라고 외우기
Flavonoid Mg-HCl에 의한 정색반응  
Anthraquinone Alkali에 의한 정색반응  
Saponin 물에 넣은 뒤에 기포발생 확인  
Phenol FeCl3와 정색반응  
Triterpenoid, Steroid 1) Libermann-Burchard 반응 ; 진한 황산, 무수 초산
2) Salkowski 반응 ; 황산 + CHCl3
에 의한 정색반응
 
TLC 확인시험, 순도 시험에 많이 사용 densitometer와 함께 시행 시에 정량시험 가능
Keller-Killiani 반응 2,6-dideoxy sugar (예_ digitoxose)의 확인 반응


2. 생약의 생산

1) 채취 ; 유효성분이 많은 시기에 채취
시나화 - 개화 전 santonin 함량이 최대
꽃봉오리 - 정향, 괴화, 신이 / 개화 후 - 제충국, 홍화

2) 재배 ; 온도, 물, 바람, 햇빛의 양과 세기, 토양에 의해 영향 받음 - 생약의 순도 확보 가능

3) 건조
물이 배당체 가수분해, 세균 오염, 곰팡이 번식, 해충 유발에 기여할 수 있음
ex) 디기탈리스 ; 60도씨 이하에서 회건 실시/ 수분이 80% 이상일 겨우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유효성분이 분해

4) 품질 - 주요인자 ; 이물
- 유기성 이물 ; 원 식물의 다른 부분
- 무기성 이물 ; 흙 (산불용성 회분 측정)

< Buliding Block >
1. C1 ; L-Met
2. C2 ; acetyl-CoA, malontl-CoA => polyketide pathway의 기본 유닛
3. C3 ; acetyl-CoA *3 -> MVA -> isopreneunit => mevalonate pathway
4. C6C3 ; Phe, Tyr -> phenylpropanoid => shikimate pathway
5. C6C2N ; Phe, Tyr -> C6C2N => Amino acid pathway
6. Indole C2N ; Trp -> incolde C2N => Amino acid pathway
7. C4N ; Orn -> C4N
8. C5N ; Lys -> C5N => Amino acid pathwa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