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장기능상실=심부전 | 심장비대 | hypertropy | |
울혈성심부전(CHF) | 좌심부전 | 좌심의 문제/ 전신 고혈압으로 발병 폐울혈/ 폐부종 발생 RAAS활성화로 폐부종 악화 |
|
우심부전 | 좌심부전의 악화/ 폐심장으로 발병 전신, 문맥계에 출혈 발생 |
||
2. 선천심장병(CHD) congenital heart disease |
좌우단락 | 심방사이막결손 atrial septal defect |
|
심실사이막결손 ventricular septal defect |
팔로네 징후와 함께 일어남. | ||
동맥관열림증 patent ducts arteriosus |
|||
우좌단락 | 팔로네징후, TOF Tetralogy of Fallot |
1.우심실비대 2. 폐하협착 3. 심실사이막결손 4. 대동맥의 심실격벽 올라탐 5. 청색증 발생 |
|
대혈관전위증 | |||
허혈심장병(IHD) Ischemic heart disease |
협심증 | 안전성 협심증 | 운동이나 스트레스로 야기 |
환자의 25%는 무증상 당뇨병성 신경병증인 경우 많음. |
프린츠 메탈변형 협심증 | 발작성 심근허혈 관상동맥이 갑자기 수축, 경련 행동과 감정과 상관x nitroglycerin 복용 시 회복 |
|
불안정 협심증 | 죽상경화판이 갑자기 터짐 심근경색 직전 |
||
심근경색증(=심장마비) MI |
경벽경색 (=ST상승경색) | 심장벽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경색 죽상경화증, 급성죽상판 변화에 의해 야기 |
|
심장내막하경색증(=비 ST상승 경색) | 심장 내막 안쪽 1/3 지점까지 발생하는 경색 관상동맥 관류 감소, 혈전에 의해 야기 |
||
다초점 경색증 | 여러 부위에 작게 경색이 발생하는 경우 | ||
만성허혈심장병 | |||
급성심장사 | 부정맥에 의해 발생 대부분 관상동맥질환에 의해 야기 |
||
부정맥 | |||
고혈압 심장병 | 전신(좌측)고혈압 심장병 | 좌심실의 동심상 비대를 통해 진단 | |
폐동맥(우측)고혈압 심장병=폐심장 | 폐기종, 폐고혈압에 의해 야기 좌심관련 질환의 합병증으로 폐고혈압 흔히 발생 |
||
판막성 심장병 | 석회화 판막 변성 | 승모판의 석회화 -> 대동맥판막에서 석회화에 따른 협착 동심상 좌심의 비대/수술필요 |
|
승모판 탈출증(MVP) | Marfan syndrome 대부분 무증상, 치료필요x 일부에게서 감염성 심내막염 |
||
심내막염 | 류마티스열->류마티스 심장병 | 다기관 염증성 질병 막 첨판이 닫히는 선을 따라 증식 |
|
감염성 심내막염 | 힘줄근까지 확장하여 커다랗고 불규칙한 덩어리 형성(염증에 의해) | ||
비세균성 혈전 심내막염 | 작고 증식이 약함. | ||
심근증 | 확장 심근증 | 수축기 기능이상 / 유전, 후천 / 진행성 심장확장, 수축성기능장애 유발, 좌심방 좌심실 확장 | |
비대 심근증 | 확장기 기능이상 / 유전만 / 병리적인 원인 없이 비대가 일어남. 심근 비대로 심실 공간이 수축, 좌심방 확장 | ||
제한 심근증 | 확장기 기능이상 / 특발성 / 원발성심실의 유연성 감소, 심실 충만에 문제 |
'약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태생리학] 위창자관 질병 한눈에 보기 (1) | 2022.10.19 |
---|---|
[병태생리학] 폐 질병 한눈에보기 (0) | 2022.10.18 |
[생약학 정리+암기법] Polyketide 경로 화합물 (0) | 2022.04.22 |
Shikimate Pathway - Lignan (0) | 2022.04.22 |
[생약학] 생약의 품질평가 & Buliding Block (0) | 2022.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