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학

[병태생리학] 위창자관 질병 한눈에 보기

by 공백blank 2022. 10. 19.

식도

식도    
식도폐쇄 점막층이 내강쪽으로 돌출, 위식도 역류에 의해 발생
플럼버 빈슨 증후군 ; 철결핍성 빈혈, 설염, 구순구강염 동반
  스카츠키링 B ring, 연하곤란 발생, 점막층 자체가 돌출됨, 위식도 역류에 의해
이완못함증   민무늬근육(LES)의 불완전한 이완, 긴장도 증가로 이완 결함
식도염 말로리-바이스 증후군 식도 이음부 근처 점막이 세로로 찢겨있는(열상) 상태
급성위장관 출혈 동반, 수술필요x, 쉬기, 급성 알코올중독
  화학물질 식도염, 감염성 식도염  
  역류 식도염 GERD LES(아래식도 조임근)이 술, 담배, 비만 등의 원인에 의해 이완되면서 내용물이 위로 올라옴, 화생(바레트식도)에 의해 식도가 변함
식도 정맥류   간경화 환자의 50% 발생, 정맥류 출혈 발생 시 즉사할 수 있음.
문맥 고혈압이 발생할 때 주로 발생
바레트 식도   GERD의 합병증, 식도샘암종의 전구병변
편평상피가 원주상피로 변함.
식도 종양 양성 - 평활근종 근육층에서 발생
  식도암 - 샘암종 GERD를 거쳐 adenocarninoma로 진행할 수 있음.
  식도암 - 편평세포암종 가장 흔한 식도암.

     
급성위염 NSAIDs   점액, bicarbonate 생산감소
  요독증 환자   암모니아 농도 높아짐, 중탄산이온 감소
  H.Pylori 감염된 사람   암모니아 농도 높아짐, 중탄산이온 감소
  older adults   mucin, 중탄산이온 분비 감소
  높은 고도   산소 운반감소
만성위염 헬리코박터파일로리 감염   다초점성위축성 위염 발생 / 날문방 위주로 위염 발생
MALT를 유도하여 B세포 림프종을 발생시킬 수 있음.
  자가면역위염   광범위 위축성 위염 발생 /날문방 제외 체부에서 주로 발생 / 벽세포의 소실, 주세포의 파괴 / 위산, 내인성 분비 억제 / 무위산증, 악성빈혈
만성위염 합병증 소화궤양병=PUD 날문방, 샘창자에서 발생 만성적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 인한 만성위염으로 발생, 위산분비 증가, 주탄산이온 감소
    위바닥, 위몸통에서 발생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자가면역에 의한 만성위염의 경우 발생, 위산분비 감소, 위보호기재 감소, 점막위축
  점막 위축과 창자화생   자가면역에 의한 만성위염에서 많이 발생, 양성종양, 악성종양까지 발전할 수 있음, 무위산증
  형성이상   유전적인 변화
위종양 염정성 폴립, 과다형성 폴립   헬리코박터파일로리 균을 제거하면 자연스럽게 사라짐
  위바닥샘 폴립   FAP를 가진 사람에서 발생, 예후가 안좋은 경우 많음, 종양성은 아님.
  위샘종(adenoma) (양성종양) 30%rk adenocarcinoma로 발전(위축, 창자화생을 동반한 만성위염의 경우 특히)
  위샘암종(악성종양) 창자형 위암 커다란 덩이 형성, wnt signal의 증가, 환경적 요인과 관련, 전구병변(형성이상, 샘종)을 거치는 경우가 대부분,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55세 이상에서 높게 나타남
    광범위형 위암 벽에 침윤, 나라별로 차이 없음,반지세포 발견됨
E-cadherin의 기능 상실로 관찰
  GIST(위창자버팀질종양)   위창자고유근육의 카할사이질세포로부터 기원
배나 복부의 중간엽 종양, KIT의 기능획득돌연변이로 발생
  림프종   MALT로 유도, MALT lymphoma로 진행될 수 있음.

작은창자 주름창자

작은창자, 주름창자        
흡수장애와 설사 흡수장애 낭성 섬쥬증   음식물의 분해X, 소화장애와 흡수장애
췌장액의 이동을 막음
    복강질환   gluten이 분해되지 않음.
    환경성 창자병증   공중위생상태와 관련된 질환, 흡수장애
    자가면역 창자병   Tcell이 상피세포를 스스로 공격, 흡수장애
    젖산분해효소 결핍증   우유마시면 설사, 선천적/후천적
  설사     대변양 증가, 빈도 증가, 유동성증가
과민성대장증후군
자극성창자증후군 = IBS
      만성적, 재발성 복통에 더불어 팽만과 대변습관에서의 변화
염증성 창자병
= IBD
크론병 CD     경벽성, 도약병변, 열창, 이행성 지방, 움고름집, 점막층 구조 왜곡, 파네트 세포 화생, 비건락 육아종, 전신 염증(포도막염)
  궤양성 주름창자염 UC     주름창자와 곧창자 한정, 점막층과 점막하층까지 영향, 여성에게 더 흔함. 실같은 점액성 물질, 복통, 경련, 육아종 없음
폴립 비신생물성 폴립 과다형성성 폴립   악성 가능성 없음
    염증성 폴립   종양성x
    과오종성 폴립 소아폴립 산발성, 곧창자 출혈, 단독성 병변
      포이츠-예거 증후군 점막피부(입안, 손바닥), 창자 겹침증, 암에 대한 위험증가
  신생물성 폴립 주름창자샘종, 샘암종   샘종 전에 상피형성 이상, 양성종양임 adenoma
샘종성 폴립증 가족성샘암종폴립증 FAP     APC의 기능상실, MYH 유전자 돌연변이
방치시 30세 이전에 대장암 진행확률 높아짐.
유전성 비폴립 주름창자곧창자암 NHPCC       =린치증후군
DNA reapair 효소 이상 / 예후좋지않음, 전반적으로 걸쳐서 암 발생
샘암종       GI tract의 악성종양
APC 변이->adenoma->adenocarcinoma
DNA repair 변이, CpG island hypermethylation

 

댓글